율리아 하우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아 폰 하우케는 1825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독일계 폴란드 귀족 여성이다. 그녀는 러시아 황제의 시녀로 일하다가 헤센-다름슈타트의 알렉산더 공과 결혼했으나, 왕족이 아니었기에 귀천상혼으로 간주되어 자녀들은 헤센 대공위 계승권을 얻지 못했다. 율리아는 바텐베르크 백작부인, 바텐베르크 공주 작위를 받았으며, 1875년 루터교로 개종했다. 그녀는 1895년 사망했으며, 자녀들은 바텐베르크 공자 및 공녀가 되어 유럽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영국 왕실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계 폴란드인 - 앙리 3세
앙리 3세는 발루아 왕조의 마지막 프랑스 국왕이자 폴란드 국왕이었으며, 위그노 전쟁 등 혼란한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하다 가톨릭 동맹과의 갈등 끝에 암살당해 발루아 왕조를 마감했다. - 프랑스계 폴란드인 - 루도비크 오브라니아크
프랑스 태생의 폴란드 축구 선수 루도비크 오브라니아크는 프랑스 U-21 대표팀 출신으로 폴란드 국가대표로 UEFA 유로 2012에 참가했으며, FC 메스, 릴 OSC, 지롱댕 드 보르도 등 다양한 클럽에서 활약하다 2018년 은퇴 후 르 투케 AC의 감독이 되었다. - 폴란드의 귀족 -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는 폴란드 귀족 가문 출신으로 반체제 활동가로 활동하다 폴란드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며, 국방장관, 하원 의장 등을 거쳐 친 EU 정책을 추진했다. - 폴란드의 귀족 -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 시기 폴란드 독립을 위해 폴란드 군단을 조직하여 헌신했으며, 폴란드 국가에 언급되고 프랑스 파리 개선문에도 이름이 새겨져 있다. - 바텐베르크가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바텐베르크가 - 빅토리아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헤센 대공녀 빅토리아는 루트비히 4세와 앨리스 공주의 장녀이자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로,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와 결혼하여 네 자녀를 두었으며, 밀퍼드 헤이븐 후작부인이 되었고, 전쟁과 혁명의 비극을 겪은 후 손자 양육에 기여하다 켄싱턴 궁전에서 생을 마감했다.
율리아 하우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율리아 테레제 살로메아 하우케 |
출생 | 1825년 11월 24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바르샤바 |
사망 | 1895년 9월 19일 (향년 69세) |
사망지 | 헤센 대공국, 유겐하임, 하일리겐베르크 성 |
배우자 |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 (1851년 10월 28일 ~ 1888년 12월 15일) |
자녀 | 에르바흐-쇤베르크 공작부인 마리 밀포드헤이븐 후작 루이스 마운트배튼 불가리아 공 알렉산더르 바텐베르크 공자 하인리히 바텐베르크 공자 프란츠 요제프 |
가문 | |
가문 | 하우케 가문 |
아버지 | 얀 마우리치 하우케 |
어머니 | 조피 라퐁텐 |
작위 | |
작위 | 바텐베르크 공비 |
종교 | |
종교 | 가톨릭교회 → 루터교 |
2. 생애
율리아 폰 하우케는 러시아 제국의 개인 연합으로 통치되던 콩그레스 폴란드의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독일계 폴란드 장군인 한스 모리츠 하우케의 딸이었다.[1][2] 그녀의 어머니 소피는 폴란드 군 외과 의사인 프란츠 레오폴트 라퐁텐의 딸이었다.[3]
그녀의 아버지는 반도 전쟁을 비롯한 여러 전쟁에서 나폴레옹의 폴란드 군단에서 싸웠으며, 이후 콩그레스 폴란드 군대에서 복무하며 장군으로 진급했다. 니콜라이 1세 황제는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콩그레스 폴란드의 전쟁 부 차관으로 임명하고 백작 작위를 수여했다.[4] 11월 봉기에서 율리아의 아버지는 사관생도들에게 총에 맞아 죽었고, 어머니는 충격으로 사망하여 율리아를 포함한 자녀들은 황제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율리아는 훗날 황제 알렉산드르 2세의 아내가 되는 헤세의 마리의 시녀로 일하던 중, 마리아의 오빠인 알렉산더 공을 만났다. 황제는 이들의 관계를 승인하지 않았고, 둘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1851년 10월 28일 브로츠와프에서 결혼했다.
율리아는 왕족과의 결혼에 적합한 신분이 아니었기에 이들의 결혼은 귀천상혼으로 여겨졌다. 율리아의 남편의 형인 헤센-다름슈타트 대공 루이 3세는 율리아를 바텐베르크 백작으로 만들었고, 이후 바텐베르크 공주로 승격시켰다.
율리아는 1875년 5월 12일 루터교로 개종했다. 개종 전에는 헤센 전역의 러시아 정교회와 비잔틴 가톨릭 교회를 자주 방문했고, 종종 먼 거리를 여행했다. 그녀의 종교는 개종하기 전까지 남편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공개적으로 비판받았다. 그녀의 아이들은 루터교로 세례를 받았다. 그녀는 1895년 9월 19일 하일리겐베르크 성에서 사망했다.
2. 1. 탄생과 유년
율리아 폰 하우케는 1825년 폴란드 입헌왕국의 바르샤바에서 한스 모리츠 하우케 장군과 그의 아내 소피 라퐁텐의 막내딸로 태어났다.[1][2][3] 아버지 한스 모리츠 하우케는 독일계 폴란드인으로, 나폴레옹 전쟁에서 폴란드 군단 소속으로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그는 러시아 제국군에 복무하며 니콜라이 1세의 신임을 얻어 1829년 폴란드 왕국의 국방 차관 및 백작 작위를 받았다.[4]1830년 11월 봉기 당시, 아버지 한스 모리츠 하우케는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을 보호하다가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 어머니 소피 또한 이 사건의 충격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이후 율리아를 포함한 하우케 가문의 자녀들은 니콜라이 1세의 후견을 받으며 성장했다.
2. 2. 결혼과 귀천상혼
황태자 알렉산더의 아내인 마리아의 시녀가 된 율리아는 황후의 오빠인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공과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황제는 왕족과 평민 출신 백작녀의 결혼을 승인하지 않았다. 두 사람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도망쳐, 1851년 10월 28일 당시 프로이센령 실레시아의 브로츠와프(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1][2][3][4]율리아는 왕족과 결혼할 수 있는 신분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결혼은 귀천상혼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알렉산더와 율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헤센 계승권을 가질 수 없었다. 알렉산더의 형인 루트비히 3세 폰 헤센 대공은 율리아에게 바텐베르크 백작부인 작위를 내렸고, 1858년에는 바텐베르크 공비로 격상시켰다. 이에 따라 율리아와 알렉산더의 자녀들은 바텐베르크 공자와 공녀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2. 3. 개종과 말년
율리아는 1875년 5월 12일 루터교로 개종했다.[4] 개종 전에는 헤센 전역의 러시아 정교회와 비잔틴 가톨릭 교회를 자주 방문했고, 종종 먼 거리를 여행했다. 그녀의 종교는 개종하기 전까지 남편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공개적으로 비판받았다. 그녀의 아이들은 루터교로 세례를 받았다. 1895년 9월 19일 하일리겐베르크 성에서 사망했다.[4]3. 자녀
율리아 하우케는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공과의 사이에서 다섯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바텐베르크의 공자 및 공녀 칭호를 받았다.
- 마리 (1852–1923): 에르바흐쇤베르크 공작 구스타프와 결혼.
- 루이스 (1854–1921): 헤센 공녀 빅토리아와 결혼, 엘리자베스 2세의 부군 필립 공의 외조부.
- 알렉산더 (1857–1893): 불가리아 공국의 공.
- 헨리 (1858–1896):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와 결혼, 스페인의 빅토리아 유제니아 왕비의 아버지.
- 프란츠 요제프 (1861–1924): 몬테네그로 공주 아나와 결혼.
3. 1. 바텐베르크 공녀 마리아
바텐베르크 공녀 마리아는 1852년에 태어나 1923년에 사망했으며, 1871년 에르바흐쇤베르크 공작 구스타프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3. 2.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
헤센 대공녀 빅토리아와 1884년에 결혼하여 스웨덴의 루이즈 왕비, 루이스 마운트배튼, 버마의 초대 백작 등을 낳았다.[2] 1917년, 루이스와 그의 후손들은 독일식 작위를 포기하고 마운트배튼 성을 사용했으며, 루이스는 초대 밀퍼드 헤이븐 후작이 되었다.[2] 그의 딸 앨리스 폰 바텐베르크 공녀를 통해, 엘리자베스 2세의 남편 필립 공이 그의 외손자가 되어, 현재 영국 왕실의 조상이다.[2]3. 3. 바텐베르크 공자 알렉산더
알렉산더 폰 바텐베르크 공자는 1879년 불가리아 공국의 공으로 선출되었으나, 1886년에 퇴위하였다. 1889년에는 요한나 로이징거와 귀천상혼으로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3. 4. 바텐베르크 공자 하인리히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와 1885년에 결혼하여 스페인의 빅토리아 유제니아 왕비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빅토리아 유제니아를 통해 그는 현재 스페인 왕실의 조상이 되었다. 1917년, 하인리히의 후손들은 독일식 작위를 포기하고 마운트배튼 성을 사용했으며, 그의 장남 알렉산더 마운트배튼은 나중에 초대 캐리스브룩 후작이 되었다.3. 5. 바텐베르크 공자 프란츠 요제프
몬테네그로 공주 아나와 1897년에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4. 가계와 후손
율리아 폰 하우케는 한스 모리츠 하우케와 소피 라퐁텐 사이에서 태어났다. 율리아는 바텐베르크 공자 및 공녀 5명을 두었다. 장남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는 영국 시민이 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반독일 감정 때문에 조카들과 함께 성을 독일어 'Battenberg'를 영어로 번역한 마운트배튼(Mountbatten)으로 바꾸었다. 이들은 독일 칭호를 포기하고 조지 5세에게서 귀족 작위를 받았다.[4]
4. 1. 가계
4. 2. 후손
율리아 폰 하우케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바텐베르크 공자 및 공녀였다.이름 | 출생-사망 | 배우자 | 비고 |
---|---|---|---|
마리 폰 바텐베르크 공녀 | 1852년-1923년 | 에르바흐쇤베르크의 구스타프 공자 (1871년 결혼) | 자녀를 둠 |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 | 1854년-1921년 | 헤센 공녀 빅토리아 (1884년 결혼) | 자녀: 스웨덴의 루이즈 왕비, 루이스 마운트배튼. 1917년 독일식 작위 포기, 마운트배튼 성 사용, 초대 밀퍼드 헤이븐 후작이 됨. 외손자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와 결혼하여 현재 영국 왕실의 직계 조상이 됨. |
알렉산더 폰 바텐베르크 공자 | 1857년-1893년 | 요한나 로이징거 (1889년 귀천상혼) | 1879년 불가리아 공으로 선출, 1886년 퇴위. 자녀를 둠. |
바텐베르크 공자 하인리히 | 1858년-1896년 | 영국 공주 베아트리스 (1885년 결혼) | 자녀: 스페인의 빅토리아 유제니아 왕비. 1917년 후손들 독일식 작위 포기, 마운트배튼 성 사용. 장남 알렉산더 마운트배튼, 캐리스브룩의 초대 후작은 초대 캐리스브룩 후작이 됨. |
바텐베르크 공자 프란츠 요제프 | 1861년-1924년 | 몬테네그로의 안나 공주 (1897년 결혼) | 자녀 없음 |
율리아의 장남 루이는 영국 시민이 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만연했던 반독일 감정 때문에 그의 조카들(헨리 공자와 베아트리스 공주의 아들들)과 함께 성을 독일어 'Battenberg'를 직역한 마운트배튼(Mountbatten)으로 영국식화했다. 이들은 독일 칭호를 포기하고 조지 5세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루이는 초대 밀퍼드헤이븐 후작이 되었고, 헨리의 장남 알렉산더는 초대 카리스브룩 후작이 되었다.[4]
5. 유산과 평가
율리아 폰 하우케의 결혼은 신분 상승의 욕망과 귀천상혼이라는 제약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율리아는 독일계 폴란드 장군 한스 모리츠 하우케의 딸로 태어나 러시아 황제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했다.[1][2][3] 훗날 황후가 되는 헤세의 마리의 시녀로 일하면서 헤센-라인의 알렉산더 공을 만나 사랑에 빠졌지만, 황제는 이들의 결혼을 반대했다.[4]
두 사람은 신분 차이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결혼에 성공했다. 그러나 율리아와 그의 자녀들은 왕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귀천상혼으로 분류되어 헤센-다름슈타트의 왕위 계승 자격을 얻지 못했다. 대신, 율리아는 바텐베르크 백작 부인이라는 작위를 받았고, 이후 바텐베르크 공주로 승격되었다.[4]
이러한 율리아 폰 하우케의 삶은 당시 유럽 사회에서 신분과 결혼의 관계, 그리고 개인의 욕망과 사회적 제약 사이의 갈등을 잘 보여준다. 그의 후손들은 바텐베르크 가문이라는 이름으로 유럽 여러 왕가와 연결되어, 20세기와 21세기 유럽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auke Family from Wetzlar
http://www.wargs.com[...]
2018-12-03
[2]
서적
The Lineage & Ancestry of HRH Prince Charles, Prince of Wales
Charles Skilton
1977
[3]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J. A. Stargardt
1958
[4]
웹사이트
The Hauke Family
http://www.wargs.com[...]
[5]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s Hessen
https://archive.org/[...]
1879
[6]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s Hessen
https://archive.org/[...]
1879
[7]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8]
웹사이트
Quartiers de M.T. de Kornely
https://books.google[...]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